반응형

CS 22

의존성 주입(DI) 개념 및 Java, JavaScript 사용 방법

DI 의존성이란? 의존성이란 간단하게 두 모듈 간의 연결이다. class A { foo() { ... } } class B { getList() { const a = new A(); const data = a.foo(); ... } } B클래스는 A라는 클래스를 사용해서 getList라는 메서드를 사용한다. 이 말은 B는 A에 의존한다고 할 수 있다. 의존성 주입이란? 메인 모듈이 ‘직접’ 다른 하위 모듈에 대한 의존성을 주기보다는 중간에 의존성 주입자가 이 부분을 가로채 메인 모듈이 ‘간접’적으로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이다. 모듈의 확장성과 독립성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를 통해 메인 모듈(상위 모듈)은 하위 모듈에 대한 의존성이 떨어지게 된다. (decoupleing : 비동조화) 1. 의존성 주입..

CS 2022.12.27

싱글톤(Singleton) 패턴 개념 및 Node.js DB(MySQL, MongoDB) 연결 모듈 구현

싱글톤 패턴   싱글톤 패턴이란?싱글톤 패턴은 하나의 클래스에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가지는 패턴이다. 하나의 클래스를 기반으로 여러 개의 개별적인 인스턴스를 만들 수 있지만, 그렇게 하지 않고 하나의 클래스를 기반으로 단 하나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이를 기반으로 로직을 만드는데 쓰이며, 보통 데이터베이스 연결 모듈에 많이 사용한다.    1. 장단점하나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놓고 해당 인스턴스를 다른 모듈이 공유하며 사용하기 때문에 인스턴스 생성할 때 드는 비용이 줄어든다. 하지만 의존성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TDD(Test Driven Development)를 할 때 걸림돌이 된다. TDD를 할 때 단위 테스트를 주로 하는데, 단위 테스트는 테스트가 서로 독립적이어야 하며 테스트를 어떤 순서로든 실행할..

CS 2022.12.26
반응형